폐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리적 단위조작과 화학적 처리공정을 활용하는 시설.
물리적처리 : 스크린, 침전조, 여과장치
화학적처리 : 응집·침전, 중화, 산화·환원
미생물 대사작용을 이용하여 폐수의 유기물질·영양염류(N, P)를 분해·제거하는 시설.
호기성 공정 : 공기 공급, 미생물이 유기물 분해
혐기성 공정 : 메탄발효로 유기물 분해
과산화수소(H₂O₂)와 철이온(Fe²⁺)의 촉매반응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(–OH)을 발생시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산화·분해하는 고급산화법.
생물학적 처리와 분리막(Membrane) 여과를 결합한 폐수·오수 고도처리 공법.
활성슬러지법에서 침전조 대신 막여과(Micro/Ultra Filter)를 이용 → 고효율 고액분리 가능
공장, 주거지, 공사장 등 특정 지점이 아닌 넓은 지역에서 빗물에 의해 유출되는 오염물질(SS, T-N, T-P, 중금속, 유류 등)을 저감 처리하기 위한 시설.
처리시설 : 저류지, 침사지, 여과시설 등
산업체·공공시설·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및 분뇨성 오수를 처리하는 시설.
물리적(스크린·침전), 생물학적(호기성·혐기성 미생물), 화학적(응집·살균) 공정을 결합하여 수질 오염 방지